[황대박 선교사] 안다는 건...
'아는 것이 병이다’ 라는 말은 차라리 몰랐으면 좋았을 상황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본문
달걀이 상(床)에 자주 오르지 못할 정도로 달걀이 귀한 시절이었습니다. 어느 마님은 생란을 밥에 비벼먹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어느 날 몸종이 밥상을 들고 오다 부주의로 그만 달걀이 마루에 떨어져 깨져 버렸습니다. 우연히 그 광경을 문틈으로 본 마님은 달걀을 어찌하는지 몰래 지켜보았는데 몸종은 마룻바닥에 깨진 달걀을 접시에 담아 상을 내왔습니다.
괘씸한 생각에 마님은 몸종에게 물었습니다. ''깨끗하다는 것이 무얼 말하는 것이냐?"
먼지나 잡티가 없는 것이라고 말하면 혼내줄 생각이었습니다. 그러나 몸종은 이렇게 대답 했습니다.
''안보이면 깨끗한 것입니다."
마님은 그 말에 크게 공감하며 "네 말이 옳다." 하고는 흔쾌히 용서 했습니다.
실제로 우리들의 삶에서 모르는 것이 행복한 일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과거를 캐내는 것은 참으로 어리석은 짓입니다.
우리는 호기심 때문에 과거의 사건을 알려고 하나, 알고 난 후에는 대부분 후회합니다. 사람은 완전무결 할 수가 없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아는 것이 병이다’ 라는 말은 차라리 몰랐으면 좋았을 상황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살아가면서 많은 상황이 그렇습니다. ‘모르는 게 약이다’ 라는 말은 어설픈 지식 습득의 위험성을 경고 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즉 어설프게 알 바에는 차라리 모르는 것이 더 낫다는 충고의 말입니다.
‘돈은 만악의 근원이다’라는 말에서 악의 근원은 돈 그 자체가 아니라 돈에 대한 집착으로부터 비롯하는 온갖 나쁜 결과입니다.
나중에 후회할 것이 분명하다면 우리는 굳이 알 필요가 없습니다. 안 보거나 모르면 깨끗한 것이 되고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주변의 모든 사실을 세세히 알고 있다면 어떨까요? 손바닥에 수많은 균이 있다는 것을 늘 인식하고 산다면 과연 우리들에게 유익할까요?
우리가 먹는 음식의 해로운 성분들이나 그 유해성을 모두 알고 생활한다면 어떨까요?
물건에서 균이 옮을까봐 다른 사람이 쓰던 물건을 만지지 않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런 것이 알아서 생긴 병입니다. 흔히 예전에는 이런 경우를 "신경쇠약 증세"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바리새인들 역시 안다는 것 때문에 예수님께 책망을 들었습니다. 차라리 모르고 소경이였다면 훨씬 나았을 것입니다.
샬롬 !~~
이전 것은 다 잊어 버리고 내게 주신 꿈과 비전을 바라보며 전진하는 복된 주일 되시기를 기도드립니다.

-
[말씀 묵상] 예후의 기름부음, 심판의 시작 (열왕기하 9장 1-13절)2024-09-18
-
[말씀 묵상] 나 하나쯤이야..2024-09-18
-
[말씀 묵상] 누구와 연합할 것인가 (열왕기하 8장 16-29절)2024-09-17
-
[말씀 묵상] 추석 덕담 모음2024-09-17
-
[말씀 묵상] 우연이 아닌 섭리 (열왕기하 8장 1-15절)2024-09-16
-
[말씀 묵상] 좋은 동반자2024-09-16
-
[말씀 묵상] 사마리아의 참상의 반응 (열왕기하 6장 24 - 7장 2절)2024-09-14
-
[말씀 묵상] 분노의 독소2024-09-14
최신글이 없습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