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형권 목사] 로마서 6:15-23절 묵상
은혜 아래 있다고 죄를 쉽게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본문
오늘 본문은 어제 본문(1-14절)을 다시 한번 반복하고 정리해 주는 내용입니다. 성도는 죄에 대하여 죽었고, 의에 대하여 다시 산 자들입니다. 그리스도의 대속의 피로 죄값을 치렀기 때문에, 정죄하는 율법에서 해방되었고 이제는 은혜 아래 있습니다(14절). 따라서 더 이상의 정죄는 없습니다.
그러면 이제 은혜 아래 있으니까 죄를 지어도 될까요? 바울은 1절에 이어 오늘 본문이 시작되는 15절에서도 ‘그럴 수 없다!’고 단호하게 말합니다. ‘죄의 종’에서 ‘의의 종’으로 신분이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너희가 본래 죄의 종이더니 너희에게 전하여 준 바 교훈의 본(=복음)을 마음으로 순종하여 죄로부터 해방되어 의에게 종이 되었느니라”(16-17절).
죄로부터의 해방은 자유인이 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주인에게 속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죄에서 해방된 사람이 여전히 죄에게 순종한다면 그는 죄의 종이지 의의 종이 아닙니다. 그것은 오히려 그가 아직 죄에서 해방된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증거가 되고, 그 열매는 사망입니다. 정말 그리스도의 의를 힘입어 죄에서 해방되었다면 그는 이제 하나님께 순종하는 ‘의의 종’이고, 거룩함에 이르는 열매를 맺고 영생에 이르게 됩니다(22절).
물론, 바울은 육신의 연약함을 알고 있습니다(19절). 그래서 사람의 입장에서 육신의 연약함을 염두에 두고 말한다고 합니다(19절). 그런데 죄를 지을 수 밖에 없는 연약한 인생이니까 이해한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너희가 전에는 부정과 불법의 종이었을지라도 “이제는 너희 지체를 의에게 종으로 내주어 거룩함에 이르라”고 권면합니다.
죄를 미워하고 싸우다 넘어지는 것과 아무런 긴장감도 없이 습관적으로 죄의 자리에 서는 것과는 전혀 다른 이야기입니다. 히브리서 저자도 핍박이 두려워 신앙을 포기하려던 자들을 경계하면서 “너희가 죄와 싸우되 아직 피흘리기까지는 대항하지 아니 않았고, 너희들에게 권면하신 말씀도 잊었다”(히브리서 12:4절)고 책망합니다.
은혜 아래 있다고 죄를 쉽게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그것은 결코 믿음의 방식이 아닙니다. 믿음으로 구원받는다는 말을 이제부터는 어떤 죄를 지어도 된다는 ‘죄에 대한 면제권’으로 이해했다면 복음을 잘못 이해한 것입니다. 구원은 주인이 바뀌는 사건입니다. 죄의 통치 아래에 있다가 의의 통치 아래로 옮기는 사건입니다. 은혜 아래 있게 되는 순간부터 그 전까지 나를 지배했던 죄와 피흘리기까지 싸워야 하는 영적 전쟁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은혜를 빙자해 은밀한 죄를 즐기고, 여전히 과거의 습관에 머물러 있다면 그것은 헛되이 믿은 것이고 가짜 믿음입니다. “너희가 만일 내가 전한 그 말(=복음)을 굳게 지키고 헛되이 믿지 아니하였으면 그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으리라”(고린도전서 15:2절). 은혜로 받은 구원을 확증해 주는 것은 거룩함에 대한 열망으로 맺어지는 삶의 열매인 것입니다.
구원은 은혜로 받는 것이기에 우리의 행위나 의로움이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우리의 의는 하나님 앞에서 누더기와 같습니다(이사야 64:6절). 하지만 은혜로 받은 그 구원이 우리에게 의를 기대하고 격려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은혜를 받아들이는 믿음은 절대로 우리를 과거에 머물러 있게 하지 않습니다. 우리로 거룩을 사모하게 하고, 그리스도를 닮아가게 합니다. 거룩함은 구원의 조건이 아니라 구원의 열매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뜻은 이것이니 너희의 거룩함이라 곧 음란을 버리고…”(데살로니가전서 4:3절).
예수를 알기 전의 열매는 부정과 불법이었지만(19-21절), 하나님의 종이 된 후에는 ‘거룩함에 이르는 열매’(22절)를 맺습니다. 거룩함의 나무에 접붙여져 다시 태어났습니다. 사과 나무는 사과 열매를 맺고, 귤 나무는 귤 열매를 맺듯이 거룩함의 나무는 거룩함을 맺습니다. 그리스도의 의를 의지하는 사람일수록 그 의를 닮고 싶어하고, 배우고 싶어합니다.
우리를 하나님 앞에서 ‘거룩하고 흠이 없게 하실’(에베소서 1:4절) 그 날까지 나를 구원하신 그 은혜와 부르심에 합당한 삶을 살아내는 이 땅의 나그네 여정 길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마라나타!!

-
[말씀 묵상] 예후의 기름부음, 심판의 시작 (열왕기하 9장 1-13절)2024-09-18
-
[말씀 묵상] 나 하나쯤이야..2024-09-18
-
[말씀 묵상] 누구와 연합할 것인가 (열왕기하 8장 16-29절)2024-09-17
-
[말씀 묵상] 추석 덕담 모음2024-09-17
-
[말씀 묵상] 우연이 아닌 섭리 (열왕기하 8장 1-15절)2024-09-16
-
[말씀 묵상] 좋은 동반자2024-09-16
-
[말씀 묵상] 사마리아의 참상의 반응 (열왕기하 6장 24 - 7장 2절)2024-09-14
-
[말씀 묵상] 분노의 독소2024-09-14
최신글이 없습니다.
댓글목록0